반응형
상황은 이러하다.
1. Dockerfile로 이미지를 만들었다.
Dockerfile + docker build 명령어 -> 이미지 뿅~
docker build -t xxxx:v0.1 .
2. docker images로 만들어진 이미지를 확인.
3. docker tag로 tag변경 가능.
4. docker push로 docker hub에 push!!
docker push xxxx:v0.1
k8sdev.yaml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tomcat-deployment
labels:
app: tomcat
spec:
replicas: 1
selector:
matchLabels:
app: tomcat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tomcat
spec:
containers:
- name: tomcat
image: address.io/teri_epi/hahahoho:v0.1
ports:
- containerPort: 8080
kubectl로 kubernets에 적용.
kubectl apply -f k8sdev.yaml
오류 발생|
repository does not exist or may require 'docker login' k8s
원인
docker hub의 레파지토리가 비공개(private)여서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공개로 바꾸고 처리 끝~:)
private일 경우에 docker login관련 어떤 처리를 해줘야 하는 거 같다.
이 내용은 여기에서 다루지 않는다. 구글 신에게 물어보자! :)
반응형
'CM > K8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elm chart storm (0) | 2022.01.19 |
---|---|
pv, pvc terminating 말고 완전 삭제하기! (0) | 2022.01.11 |
k8s와 docker 주저리 (0) | 2021.12.30 |
k8s 자격증? (0) | 2020.11.12 |
docker hub login시 error 발생! (2) | 2020.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