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2021/022

Docker 리서치 도커 등장 배경 docker 관련 문서 : https://github.com/remotty/documents.docker.co.kr 서버를 관리한다는 것 복잡하고 어려운 서버관리 시간이 흐르면서 서버환경이 종종 바뀌거나 오픈소스가 바뀌거나 하는 걸 볼수 있습니다. CentOS -> Ubuntu Chef -> Ansible -> 또 다른 오픈소스 DevOps의 등장으로 짧은 개발주기와 잦은 배포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유행 -> 프로그램은 더 잘게 쪼개어져 관리는 더욱 복잡해짐. 새로운 툴은 계속 나오고 클라우드의 발전으로 설치해야 할 서버가 수백, 수천대에 이르는 상황(?) 이런 노답인 상황에서 Docker가 등장하고 서버관리 방식이 완전히 바뀌게 됩니다. 도커의 역사 도커는 2013년 3월 산타클라라.. 2021. 2. 3.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 Architecture)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큰 문제를 상대적으로 작게 분해해 해결 이렇게 작게 나눈 각 서비스가 독립적으로 역할을 수행 한가지만, 아주 잘 처리하자. 라는 것이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의 기본 철학이다. 단일 책임 원칙(SRP)를 중시(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비즈니스 태스크를 작은 태스크로 나누며, 각 태스크마다 마이크로 서비스를 정의 한다. 비즈니스 요구사항과 태스크를 얼마나 잘 나눴는지에 따라 시스템에 두개 혹은 100개의 마이크로 서비스가 존재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특징 시스템을 둘 이상의 실행 단위 또는 컴포넌트로 구성한다. 각 컴포넌트는 기능을 서비스 형태로 표출, 결합도가 낮으며 비즈니스 목적에 맞게 동작한다. 각 컴포넌트는 메시징 큐, HTTP 요청/응답.. 2021. 2.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