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go에 해당되는 글 6건
- 2018.03.05 golang + github Permanently added the RSA host key
- 2018.03.02 golang setting
- 2018.02.02 valid 시 non zero value required 오류
- 2017.02.15 go lang Tip.
- 2017.02.15 go lang - fresh를 사용해 보자.
- 2017.02.03 go lang을 해보자.
글
[ If you think that is useful, please click the finger on the bottom~^-^good~ ]
by ace-T
Permanently added the RSA host key
공개키 에러인데 ..github서버에 파일을 push하려고 보니 현재 인증된게 하나도 없는 상태이다.
공개키를 github에 등록을 해주어야한다.
아래처럼 우선 공개키가 있는지 확인해보자.
공개키가 없다면..
2016/08/29 - [OS/Linux&Unix] - SSH 유용정보!
github에 id_rsa.pub 의 내용을 넣으면 된다.
잘 push 되었음을 알수가 있다.
- 끝 -
'Language > go la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lang 채널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8.05.11 |
---|---|
용어 - multiplexer (0) | 2018.03.16 |
golang + github Permanently added the RSA host key (0) | 2018.03.05 |
golang + github ignore setting (0) | 2018.03.05 |
기초) golang project 만들어보기! (0) | 2018.03.05 |
golang setting (0) | 2018.03.02 |
글
[ If you think that is useful, please click the finger on the bottom~^-^good~ ]
by ace-T
참조 : golang 셋팅
B. goland 사용
workspace에는 src와 더불어 bin, pkg 서브 폴더를 만들어준다.
GoLand를 사용
이제 재미난 코딩과 함께~아키텍처구조를 잡아보자^0^
2017/04/26 - [Language/go lang] - go land에서 formatting 설정하기
위의 프로젝트가 조금 잘못 만든거 같다.
프로젝트는 아래의 링크를 보도록 하자.
2018/03/05 - [Language/go lang] - 기초) golang project 만들어보기!
'Language > go la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lang + github ignore setting (0) | 2018.03.05 |
---|---|
기초) golang project 만들어보기! (0) | 2018.03.05 |
golang setting (0) | 2018.03.02 |
chi package (0) | 2018.03.02 |
go lang song? zz (0) | 2018.02.20 |
golang factory (0) | 2018.02.13 |
글
[ If you think that is useful, please click the finger on the bottom~^-^good~ ]
by ace-T
func checkRequired(v reflect.Value, t reflect.StructField, options tagOptionsMap) (bool, error) {
if requiredOption, isRequired := options["required"]; isRequired {
if len(requiredOption) > 0 {
return false, Error{t.Name, fmt.Errorf(requiredOption), true}
}
return false, Error{t.Name, fmt.Errorf("non zero value required"), false}
} else if _, isOptional := options["optional"]; fieldsRequiredByDefault && !isOptional {
return false, Error{t.Name, fmt.Errorf("All fields are required to at least have one validation defined"), false}
}
// not required and empty is valid
return true, nil
}
위의 validator.go 소스를 살펴보자.
requried면 value를 가지고 체킹을 하게 된다.
즉, 값이 0이 들어오는데 required를 사용하게 된다면 false인 것이다. 즉 valid가 유효하지 못하다.
제거를 해주면 0이나 "" 이 들어와도 값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지는 않을 것이다.
golang ref :
열공 열공~!
'Language > go la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lang factory (0) | 2018.02.13 |
---|---|
golang - Package json (0) | 2018.02.09 |
valid 시 non zero value required 오류 (0) | 2018.02.02 |
Review (0) | 2017.10.24 |
test code..반성! (0) | 2017.10.13 |
golang Context란? (0) | 2017.09.07 |
글
[ If you think that is useful, please click the finger on the bottom~^-^good~ ]
by ace-T
tip_1 ) Test를 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은 사이트가 있는데 이녀석은 테스트에서 사용 되어진다고 한다. 아직 사용해본적은 없지만 사용하게 되면 포스팅 하도록 하겠다.
tip_2) Mac에서 짠 뒤에 리눅스에서 동작하게 하려면?
build를 할 디렉토리에서 아래와 같이 env GOOS=linux라고 지정!
ex) env GOOS=linux go build
tip_3) go에서 패키지 관리는 어떻게 할까?
Java에 Maven같은게 있다면 Go는 glide라는 것이 있습니다.
https://github.com/Masterminds/glide
활용은 https://glide.sh/ 를 참조 또는 아래를 참조!
$ glide create # Start a new workspace - glide.yaml이 생성 된다!
$ open glide.yaml # and edit away!
$ glide get github.com/Masterminds/cookoo # Get a package and add to glide.yaml
$ glide install # Install packages and dependencies - glide.lock(버전관리)가 생성.
# work, work, work
$ go build # Go tools work normally
$ glide up # Update to newest versions of the package - 사용잘 안함.
이것을 사용하는 이유는 디펜던시가 있는것은 패키지 관리에서 하면 좋다.
ex) $ glide get github.com/foo/bar
tip_4) go의 lib같은것은 어디서 검색하나? 구글? 다음?
https://github.com/avelino/awesome-go
위의 사이트에서 우선 찾아보자! 없는게 없다~
tip_5) golang study site
'Language > go la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lang 정리 (0) | 2017.05.18 |
---|---|
GOROOT와 GOPATH (0) | 2017.04.27 |
go land에서 formatting 설정하기 (0) | 2017.04.26 |
go lang Tip. (0) | 2017.02.15 |
go lang - fresh를 사용해 보자. (0) | 2017.02.15 |
go lang을 해보자. (0) | 2017.02.03 |
글
[ If you think that is useful, please click the finger on the bottom~^-^good~ ]
by ace-T
이번 내용은 go get 이라는 명령어를 통해 Fresh 라는 것을 사용해 보자.
Fresh is a command line tool that builds and (re)starts your web application everytime you save a Go or template file.
저장 하면 바로바로 적용이 된다.
https://github.com/pilu/fresh 에서 README.md를 참조!
Installation
go get github.com/pilu/fresh
실행은 어플리케이션이 있는 곳으로 이동한 뒤에 fresh 라는 명령어를 쳐주면 서버가 기동 되어진다.
fresh의 프로세스를 kill을할 때 유의 점으로는 fresh 말고도 runner_build라는것을 kill 해주어야 한다.
'Language > go la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lang 정리 (0) | 2017.05.18 |
---|---|
GOROOT와 GOPATH (0) | 2017.04.27 |
go land에서 formatting 설정하기 (0) | 2017.04.26 |
go lang Tip. (0) | 2017.02.15 |
go lang - fresh를 사용해 보자. (0) | 2017.02.15 |
go lang을 해보자. (0) | 2017.02.03 |
글
[ If you think that is useful, please click the finger on the bottom~^-^good~ ]
by ace-T
- 링크를 통해 OS에 맞는 것을 다운 받는다. (https://golang.org/dl/)
- home에서 go dir를 하나 만들어준다.
- 다운 받은 pkg를 클릭클릭 하여 셋팅해준다.
- .bash_profile에 환경변수를 잡아준다.
# GOPATH
export GOPATH=$HOME/go
PATH=${PATH}:/usr/local/go/bin:${GOPATH}/bin
5. go 라는 명령어를 통해 잘 깔렸는지 확인.
go가 이제 셋팅 되었다! 코드를 짜기전에 github에 레파지토리를 하나 만들자.
6. github repository 생성
위에서 home밑에 go 디렉토리를 만들어줬다. 이제 그 아래에 src라는 디렉토리를 하나 더 만든다.(go lang 구조)
그런뒤에 /goStudy github의 레파지토리를 디렉토리로 만들어준다.
home>go>src>ace-t>goStudy dir이 만들어졌다면 이 안에서 git clone을 해준다.
ex) terrypark@MacBook-Pro:~/go/src/ace-t/goStudy$ git clone https://github.com/ace-t/goStudy.git
아래처럼 .git과 README.md가 보일 것이다.
이제! 대망의 소스를 코딩 해 보자! 필자는 지인분이 추천해준 해당 사이트를 따라해보려고 합니다.(https://mingrammer.com/gobyexample/)
먼저 go 파일을 하나 만들어줍니다.
terrypark@MacBook-Pro:~/go/src/ace-t/goStudy/goStudy$ vi hello-world.go
아래와 같이 소스를 코딩합니다.
package main
import "fmt"
func main() {
fmt.Println("hello world")
}
실행해봅니다.
terrypark@MacBook-Pro:~/go/src/ace-t/goStudy/goStudy$ go run hello-world.go
hello world
이제~~위의 사이트에서 문법을 차근차근 해보면 되겠습니다.
어느정도 문법이 익숙해지면 좀 더 들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ace-t github : https://github.com/ace-t/goStudy/tree/develop
github을 많이 사용하도록 해봐야겠습니다. ㅎㅎ
- 끝 -
'Language > go la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lang 정리 (0) | 2017.05.18 |
---|---|
GOROOT와 GOPATH (0) | 2017.04.27 |
go land에서 formatting 설정하기 (0) | 2017.04.26 |
go lang Tip. (0) | 2017.02.15 |
go lang - fresh를 사용해 보자. (0) | 2017.02.15 |
go lang을 해보자. (0) | 2017.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