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onolith2 프론트엔드(React)와 백엔드(Kotlin)를 함께 배포하는 Monolith 구조 도전기_01 목표우선 kotlin 학습 조금 해주고 프로젝트 구조를 잡아보자!Kotlin이란?코틀린은 안정성, 간결성, 상호운용성을 강조하는 다중 패러다임, 다중 플랫폼 프로그래밍 언어이다.2010년 하반기에 생겨서 2016년 2월 처음으로 릴리즈됐으며, 안드로이드 개발, 데스크톱 어플리케이션, 백단 서버 개발 등 여러 개발분야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2017년 구글은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공식 지원언어로 코틀린을 선택했다.2019년 11월 코틀린 1.3이 나옴 2021년 5월 1.5.0이 나옴......2025년 5월 13일 2.1.21이 나옴2010년 당시 Scala나 C# 등의 언어에서 사용할 수 있었던 유용한 기능이 자바에는 없었음.→ Jetbrains는 당시 사용 가능한 JVM언어를 검토 및 자원을 투입→ 새로.. 2025. 6. 20. SpringBoot 구조 - Monolith / Micro k8s 도입 전 클라우드 네이티브 개발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cloud native development? 왜 클라우드 네이티브 개발인가? 클라우드의 이점을 완전하게 활용하려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하며, 컨테이너를 사용한 패키징, 현대화된 아키텍처 수용, 애자일 기술 활용이 이에 해당 합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은 개발 가속화, 제공 가속화, 변화하는 요구에 대한 적응을 가속화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입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개발은 바로 DevOps입니다. 이는 컨테이너, 마이크로서비스, 그리고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입니다.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더욱 신속하게 구축하기 위해 중요한 사항을 수용하도록 관점을 바꾸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우선적으로 마이크로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2021. 1. 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