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Kafka4

MSA에서 분산 트랜잭션 처리는?(Saga+outbox) 내가 몰랐던 MSA의 특징?마이크로서비스를 하는 목적은? 개발하는 속도가 빠릅니다.조직으로 보면 하나의 서비스를 가지는 조직은 UI specialists, middleware specialists, DBAs이 모두 모여있는 조직 입니다.커뮤니케이션이 유연하고 빨라서 개발속도가 빠릅니다.즉, 기술적인 아키텍처만 변경하는게 중요한게 아니라조직의 구조나 조직의 의사결정방향, 조직의 개발문화 스타일이 변경되야 성공할 수 있습니다.그림 출처 : https://martinfowler.com/articles/microservices.htmlConway's law(콘웨이의 법칙)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구조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팀의 구조를 따라간다. 서비스의 세분화는?서비스화는 크게(모놀리스) 시작하며 분할(MSA) .. 2025. 10. 24.
비동기 아키텍처(=Asynchronous Architecture) 비동기처리메세지 큐를 기반(MQ, RABBIT MQ, KAFKA, SQS etc)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바로 리턴큐 뒤에 다수의 워커가 메세지를 읽어서 처리(워커수를 조정하여 대용량 처리가 용이)비동기 처리 메세지 패턴Fire&Forgetpattern : Producer가 메세지를 그냥 큐에 던져놓고 응답 안 기다림소비여부는 신경 안씀일반적인 MQ 모델에 가까움Producer -> Queue -> Consumerex) ActiveMQ, SQS, RabbitMQ의 기본 Queue Publish&Subscrbepattern : Producer가 메시지를 발행(Publish)하면, 여러 Consumer들이 각각 구독(Subscribe)해서 받아감같은 메세지를 여러 Consumer가 동시에 받을 수 있음.ex) .. 2025. 8. 21.
2주차) 백엔드 개발자의 데이터플랫폼 온보딩! 2주차에 한 일서비스 가이드 정리 및 사용해보기 진행생각보다 봐야할께 많았다...그리고 정리를 하면서 전체적으로 다 따라하지는 못했다.디테일한 서비스 사용은 나중에 소스를 보면서 좀 더 deep하게 보자!한번 보고 한번 정리했다고해서 내것이 아니다. 생각나지 않을때마다 자꾸 보자! 2월이 지나갔다.3월부터는 스터디를 통해 학습하자!물론 나는 더 학습해보고 스터디 이외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데이터플랫폼 관련 책을 하나 샀다.내용이 괜찮아서 샀는데 조금씩 보자!온보딩 3주차부터는 이제 기술 도메인이다.Scala, Hadoop, HBase, Kafka등 굵직한것부터 보자!3월1일~3일까지 조금이라도 학습해보자! 2025. 3. 1.
mac os에서 kafka-console-consumer 사용하기 kafka installbrew로 인스톨 해준다. brew install kafka명령어를 날리려는데 셋팅 된 위치를 모르겠다..ㅋㅋ위치는 요기!! /usr/local/Cellar/kafka/0.11.0.0/bin 명령은!./kafka-console-consumer --zookeeper xxx.xxx.com:1111/acet-kafka --topic ace-taeha 끝~ 2017. 9.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