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locking기반1 C10K 문제(C10k Problem)란 무엇인가? 1. C10K 문제의 배경1990년대까지만 해도 웹 서버가 수백 개의 동시 연결만 처리해도 충분했습니다. 하지만 인터넷 보급과 함께 수천~수만 명이 동시에 접속하는 상황이 생기면서 기존 방식으로는 서버가 감당하기 어려운 한계에 부딪히게 되었고, 이를 C10K 문제라고 부릅니다.여기서 "C10K"는 Concurrent 10,000 connections의 줄임말입니다.2. 기존 방식의 한계초기 서버는 연결마다 스레드나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구조였습니다.연결이 늘어날수록 스레드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컨텍스트 스위칭 비용 증가메모리 낭비와 동기화 오버헤드 발생또한 Blocking I/O를 사용했기 때문에, 한 연결이 I/O 대기 상태라면 해당 스레드는 CPU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습니다.3. 해결 방법Non-b.. 2025. 8.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