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키텍트2 대용량 아키텍처 설계(feat. 조대협의 대용량 아키텍처 설계 로드맵) 너무 재밌을 것 같아서..질러버렸다! 내돈내산! 아주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던 블로거 "조대협" 님 강좌!오프라인에서도 한번 들었었는데 ㅎㅎ 이제는 온라인이닷!내가 알고 있는 아키텍처 지식들을 좀 더 업데이트를 할 시기이다.사실 너무 오래되어서 잘 기억도 나질 않는것도 많다-_-;;일단 개인프로젝트(코틀린)는 홀딩! 내일은 광복절!(금) 토, 일 동안 강좌를 들어보자:) 학습목표대용량 아키텍처를 설계하기 위해 아키텍트로서 알아야 할 12가지 지식- 비즈니스, 운영, 시스템 설계 등 넓은 시야- 모놀로식, SOA, MSA 등 현대의 아키텍처가 발전해온 히스토리와 각 아키텍처의 특성을 알고, 자사의 비즈니스 목적과 상황에 따라 맞춤화된 아키텍처 설계 역량을 기릅니다. - 전체 시스템을 아우르는 아키텍트.. 2025. 8. 15. 주저리) mvc에서 controller 분리 전략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어서 mvc를 만들려는데..고민을 해보았다. ㅋㅋ Q) 현재는 하나의 도메인을 호출할 예정이지만 다른 도메인이 들어왔을 경우에 컨트롤러를 어떻게 분리를 해야할지 고민해보자! 카테고리별 즉, 디렉토리별로 분리하여 관리를 해주는 방법 아니면 그냥 Controller 디렉토리안에서 각각 필요한 Controller를 명명으로 분리하는 방법 기능적으로 커플링이 없다면 당연히 디렉토리별로 각각 만들어서 그 안에서 관리를 해주면 좋은데.. 기능적으로 중복코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면? 즉, 서비스쪽 로직코드가 중복이 될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서 쇼핑몰을 구축을 한다면 주문/발주/송장입력 등 결이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다면 손쉽게 디렉토리별로 나눠서 관리하면 좋을것이다. 심지어는 MSA아키텍처로.. 2024. 3. 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