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관련(20)
-
(사내) Straw api 정리
사내에서 사용되는 Api 정리 그냥 소스만 보고 그러러니 했더니 역시나 단편적인 이해만 될 뿐! 제대로 파악하고 제대로 사용해보기! 다음 스텝으로 프로젝트 소스에서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파악해보자! 해당 api 인터페이스는 어떻게 코드화 했는지 수정할 부분은 없는지 잘 한 부분은 배우고 못한 부분은 수정 해보자! 다시 시작 된 재택근무! 헤이해지지 않고 정리하며 기초를 다져보자! - 끝 -
2020.12.16 -
함수형과 객체지향형 추상화의 차이점?
레거시 코드 활용 전략의 저자 마이클 페더스횽이 트위터에 140자로 다음과 같이 차이점을 명시 했다.https://twitter.com/mfeathers/status/29581296216OO makes code understandable by encapsulating moving parts. FP makes code understandable by minimizing moving parts. 객체지향은 캡슐화를 통해 움직이는 부분을 캡슐화하여 코드의 이해를 높였고 함수형프로그래밍은 움직이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높였다.moviing parts?? 이 부분은 상태변화와 연관이 있다.함수형 언어는 mutable 상태를 제어하는 메커니즘 보다 이런 부분을 제거하는데 주력한다.함수형 프로그래밍이라..아직은 익숙하지..
2019.01.28 -
아키텍트 역할을 위한 지식 쌓기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2018.09.11 -
2018년7월 24일 일정 체크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2018.07.24 -
JsonLint - Json validator 소개
https://jsonlint.com/ 이런게 있었다니..ㅋㅋㅋㅋ 괜히 눈으로 맞춰보느라 고생했네..ㅎㅎ 요런 노가다를 줄이자~
2017.06.02 -
MIME 타입이란?
MIME은 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의 약자로 일종의 인코딩 방식입니다. MIME은 이메일과 함께 동봉할 첨부 파일(attachment file)을 텍스트 문자로 전환해서 이메일 시스템을 통해 전달 하기 위해 개발되었기 때문에 이름이 "Internet Mail Extension"입니다. 이제는 웹을 통해서 여러 형태의 파일을 전달하는 데 두루 쓰이고 있습니다.MIME-TypeDescriptionFile Extensionapplication/acadAutoCAD drawing filesdwgapplication/clariscadClarisCAD filesccadapplication/dxfDXF (AutoCAD)dxfapplication/msaccessMicrosof..
2017.03.17